온실가스 감축 발등의 불
온실가스 감축 발등의 불
  • 거제신문
  • 승인 2007.12.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성우/(주)강남쏠라

지구 온난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유엔 기후변화 협약국 총회가 인도 발리에서 개최되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해 각국의 환경 장관들이 참석한 총회는 2012로 트랩을 채택해 발표했다. 발리로드맵을 토대로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방법을 내년 3월 첫 회의를 시작으로 2년간 협상기간을 거쳐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의 기후변화 총회에서 결정된다.

2013년부터는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발도상국도 온실가스 감축 대상국에 포함된다. 구체적인 감축량은 제시되지 않았으나 우리나라는 최소 두자리수 감축량 적용이 불가피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이로서 당장 정부와 기업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친환경 형태로 모든 정책과 제품을 바꿔야 할 형편이다.

2012년 교토의정서 효력이 끝나고 시행되는 새 기후변화협상이 발리로드맵을 통해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모든 국가가 이번 발리로드맵을 토대로 2009년 까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구체적인 협상을 벌이게 됐다.

교토의정서는 선진국 39개국만이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가졌으나 발리로드맵은 모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도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하도록 규정했다.

우리나라는 세계9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만큼 그에 준하는 감축계획을 내 놓아야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정부는 발리로드맵 후속 조치로 2012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기준으로 3.2%까지 줄이기로 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30년까지 4배가량 늘리고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탄소거래서도 2년 안에 세우기로 했다.

정부는 17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기후변화대책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기후변화 제4차 종합대책 (2008~2012)년을 확정했다. 산업계에서는 온실가스 다량배출업체가 자발적 감축계획 등을 이행해 2012년까지 108만t의 이산화탄소(CO2)를 줄이도록 했다.

이는 2005년 배출량의 3.2%에 해당하는 규모다. 공공기간에서는 자발적 협약에 따라 2010년까지는 에너지 소비량을 동결시키기로 목표를 세웠다. 저탄소 에너지 공급 시스템도 구축했다.

지난해까지 2.3%에 불과하던 태양열 등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2030년에 9%까지 4배 가까이 늘리고 바이오디젤과 천연가스 보급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민이 의식을 공유해야 한다.
단지 국제합의에 따른다는 다소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지구생태계를 보호한다는 적극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