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곽도로망 순환교통체계 주차난 완화 등
시민의 삶을 압박하는 시내 교통체증 해결을 위해 거제시가 중·장기 계획을 마련했다.
시는 기준년도를 2005년, 중기 목표연도 2015년, 장기 목표연도 2025년까지의 도시교통정비 기본중기계획(안)을 마련, 지난 14일 경남도 도시교통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단계별 추진전략 시행(안)은 1단계(2008년-2010년) 사업추진 기반조성 및 기초서비스 제공, 2단계(2011년-2015년) 성장·확산단계, 3단계(2015년 이후) 성숙 고급화 단계 등으로 분류했다.
거제시의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을 점검했다.
■ 기본계획 및 중기계획
기본계획으로는 교통정책의 목표와 전략, 교통정책 목표 및 방향, 장기 정책의 지표설정, 사회경제 및 정책지표 등이며 도시교통 정비 기본구상은 간선교통망 구상, 상위(광역교통) 및 관련계획 검토, 광역 및 도시내 교통체계개선, 교통시설의 개선, 주차장 건설 및 운영 계획, 교통환경 계획(보행환경, 자전거도로), 교통안전 계획, 대중교통체계 구상, 지능형 교통체계 구상, 교통수요 관리계획 등이다.
중기계획으로는 도시교통 현황 및 전망, 도시지표 현황 및 전망,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 통행실태 분석, 교통수요 전망 등으로 광역교통체계, 가로망 정비 및 개선방안, 대중교통체계 개선방안, 화물수송체계 개선방안, 교통운영관리체계, 교통시설물, 교통수요 관리, 교통환경체계 개선, 주차장 건설 및 운영방안 등을 포함시키고 있다.
■광역교통망 개선방안
전국 간선망을 수용한 대도시 권역 간 연결기능 제고, 방사형 지역교통연계체계 형성, 부산, 마산권 및 통영권 주변지역 개발에 대한 지원노선 확충 외곽순환도로 확충 및 연계노선 개발, 부산공항 등 국가기반시설과의 연계수송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시행중인 거제~통영 고속도로 건설과 함께 국도14호선 우회도로 건설, 국도 58호선 확장도 포함시키고 있다.
또 가로망 체계 개선방안으로 도시내부 순환도로망 및 도심 우회도로망을 확충, 장기적으로 외곽순환도로망과 유기적 연결체계를 유지할 방침이다.
거제~통영간 고속도로를 포함한 기존 계획안 22개 노선외 지방도 1018호선 연초~하유간 22.3㎞ 2차선의 4차로 확장, 문동~학동간 지방도 1018호선 15㎞ 2차선 4차로 확장, 군도 8호선 4.5㎞ 2차선 4차로 확장 등 4개 노선 확·포장도 계획했다.
도시발전에 부응하는 동서 간선 축, 국도14호선과 지방도 1018호를 정비하며 3순환체계의 순환도로망의 정비 및 구축과 함께 중기계획에는 신현읍의 외곽순환도로망 구축 검토와 함께 신현권역과 옥포, 장승포권역의 도심 순환버스 운영계획도 포함했다.
특히 대중교통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대중교통서비스의 지역적 균형배분, 자가용 이용 억제를 위한 대중교통서비스 증진, 대중교통수송 효율 극대화를 위한 신대중교통수단의 도입, 공공성이 높고 편리한 대중교통체계 확립과 교통수단간 편리하고 원활한 환승체계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또 화물수송체계 개선 방안으로 물류체계 활성화를 위한 교통망 구축, 거제시 내의 산업단지 발생물동량의 거점별 통합관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도 교통운영관리체계 개선방안으로 간선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주요 교통시설에서의 교통혼잡 등을 개선키 위해 도심 축 교차로 신호최적화, 국도 14호선 교차로 신호최적화, 구간 연동화 등과 함께 기존 간선가로망의 이용효율 극대화, 상습정체 교차로의 개선을 통한 원활한 교통소통 도모, 첨단교통체계(ITS) 등도 도입하며 교통환경체계개선 방안으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와 보행자 공간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주차 문제점 개선
현재 거제시의 주차시설은 노상주차장 1천96면을 비롯 공영주차장 1천401면, 민영2천203면, 부설주차장 3만8천566면 등 총 4만3천266면으로 주차시설의 비율은 70%로 높은 편이다.
그러나 실제 주차수요의 시간적 공간적 집중(상업시설 주변도로 중심 주차수요집중)으로 길가 불법주차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또 신현읍과 옥포동의 주거지역은 야간 주차공간이 부족, 이면도로를 노상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데다 특히 이면도로는 주·야간 무관하게 불법주차가 상시 존재, 교통흐름을 방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2008년부터 오는 2010년까지 노상주차장 유지운영, 신설건축물의 경우 주차수요 이상 확보, 주차관련 조례개정, 불법주차 단속강화(CCTV 설치), 주차장 운영 관리체계정비, 거주자 우선 주차제실시, Green Parking 사업실시, 이면도로 정비, 공영주차장 요금체계 개선, 주차정보시스템 구축, 학교 지하주차장 건설 등 충분한 주차장 공급과 함께 법·제도를 정비하는 등 주차장 효율을 기한다는 계획이다.
또 중장기적으로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노상주차장 점진적 축소와 도심권 주차상한제 시행, 지속적인 불법주차 단속, 도시전체 수요관리, 공원지하 주차장 건설, 학교 지하주차장 건설, 차고지 증명제 시행 등도 연차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