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5년간 누적 순손실 규모 7조원
대우조선 5년간 누적 순손실 규모 7조원
  • 정종민 기자
  • 승인 2018.02.26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중공업, 작년 영업손실 5242억원·순손실 145.5% 증가

거제지역 조선업계의 부실기업들이 박근혜 정부 시절 구조조정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부실과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벌닷컴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12∼2016회계연도 연결기준 사업보고서상 대우조선해양은 5년간 누적 순손실 규모가 7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중공업도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1조 2,000억원과 1388억원의 순손실을 내고 작년 역시 적자를 예고했다.

삼성중공업은 작년 영업손실이 전년의 4배 가까이 늘어난 5242억원으로 잠정 집계돼 순손실 규모가 3407억원으로 145.5%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이에 대해 "수주와 납품기간이 장기간인 조선업의 특성상 연도별로 끊어 손실 및 순익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면서 "따라서 재벌닷컴 등에서 발표하는 재무재표 상의 손익부분은 단순한 수치에 불과해 정확한 분석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김병균 한국기업평가 전문위원은 올해 산업전망에서 "업황이 개선되지 못하는 조선과 해운 등 다수 산업의 등급 방향성이 올해 부정적"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기업 구조조정 성과가 미진한 데 대해 올해 6월 말로 만료되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정부와 채권단을 중심으로 추진하던 구조조정 방식이 최근 상황과 맞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전성인 홍익대학교 교수는 "최근 몇 년간 부실화한 기업들의 특징은 과거 채권단에 의존하기보다 회사채 발행 등 시장에서 자금조달을 통해 연명해왔기 때문에 정부와 채권단 주도의 구조조정 방식이 성과를 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적어도 앞으로 대기업 구조조정에선 정부가 빠져 고용이나 자금 지원 등에서 정치적 개입을 차단하고 회생을 원하는 기업은 기업회생(법정관리)을 통해 강도 높게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김석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워크아웃 기업들의 현황 및 시사점' 발제를 통해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는 일률적 기준으로 효율성을 평가하기 어려운 만큼 각 부실기업의 특성에 맞는 구조조정 제도가 지원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기촉법 연장 필요성을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2018-02-27 15:25:55
우짜라고? 이 기사의 의도가 뭔지? 지역 기업을 돕지 못할 망정 까고 보면 되나?
당신들이나 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