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시·시의회·한국전력·상문동송전선로지중화추진위 간담회…입장차만 확인

"통학로에 송전탑이 버젓이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을 위험으로부터라도 지켜줘야 되지 않겠습니까."
상문동 주거지역 주변에 놓인 송전선로를 이설하거나 지중화하기 위해 관계 기관·단체가 간담회를 가졌으나 평행선만 유지한 채 마무리됐다.
상문동 송전선로 지중화 추진위원회(위원장 손진일·이하 지중화추진위)는 지난 8일 상문동주민센터 대회의실에서 이형철·김성갑 거제시의회 의원과 시 조선해양플랜트과·한국전력 갈등관리부와 함께 통영~아주 송전선로 건설사업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한국전력 측은 입지선정 용역을 토대로 신설선로는 상동 4지구에 있는 거제변전소~아주동 아주변전소에의 경로를 송전탑을 세워 진행할 것이라 밝혔다. 이를 두고 지중화추진위는 기존의 송전선로와 신설선로 가운데 상문동에서 도시화 돼가는 구간에 지중화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 현재 상문동 대동다숲 인근에 위치한 거제변전소를 도시외곽으로 이전해줄 것을 덧붙였다.
하지만 한국전력 측은 "통영~아주 송전선로를 중심으로 거제지역 곳곳에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잘 되고 있는 가운데 200억원의 사업비로 추가로 선로를 세우는 사업에서 그 이상을 바라는 것은 무리"라며 "거제시가 비용을 50% 부담해야 가능한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대해 지중화추진위는 "기존 송전선로를 지중화로 변경하고 신설선로 역시 지중화 했을 때 정확한 예산을 설명해야 거제시에서 의사를 표명할 수 있는 일"이라며 "무조건 어렵다고만 하지 말고 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대안을 전문가인 한전에서 마련해주는 게 급선무"라고 밝혔다.
한전의 간담회 태도에 대한 지적도 잇따랐다.
이형철 거제시의회 의회운영위원장은 "한전은 '공기업'인데 영업논리로만 이 사업을 바라본다면 안 될 일"이라며 "간담회 태도를 보면 한전의 사업에서 '주민'은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또 "거제시 예산은 한계가 있고 한전이 필요에 의한 사업이라면 인근 주민들부터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 조선해양플랜트과 옥주원 과장은 "한전에서 정확한 예산을 책정해야 거제시도 지중화 관련 사업 부담 유무를 판단할 텐데 현재 구체화되지 않아 예산 부담 참여에 확답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시가 융통성을 발휘해 지구단위관리계획 변경을 통해 한전과 공동부담 방향으로 적극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지중화추진위와 거제시·한전은 간담회를 추후 지속적으로 가지도록 협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