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대책위 "김선기 수협조합장은 퇴진하라"
수협 대책위 "김선기 수협조합장은 퇴진하라"
  • 권오현 기자
  • 승인 2018.06.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일 김선기 조합장 퇴진촉구 기자회견 열어
같은 날, 김 조합장 직무정지 1개월
거제수협 故 이 모 조합원 명예회복을 위한 진상규명 대책위원회는 지난 20일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김선기 거제수협장 퇴진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거제수협 故 이 모 조합원 명예회복을 위한 진상규명 대책위원회는 지난 20일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김선기 거제수협장 퇴진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거제수협 김선기 조합장은 지역사회를 욕보이지 말고 지금까지 자행된 모든 불법에 대해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고 즉각 자리에서 물러나라."

거제수협 직원 사망사건 진상규명이 결국 6월을 넘기고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거제수협 故 이 모 조합원 명예회복을 위한 진상규명 대책위원회(이하 수협대책위)는 진상규명이 늦어지고 사태가 장기화되자 다음달 초께 대규모 집회까지 예고해 거제수협과 충돌이 예상된다.

수협대책위는 지난 20일 오전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거제수협 김선기 조합장의 퇴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수협대책위는 김 조합장이 수협의 경영부실을 초래했을뿐 아니라 2017년과 2018년 2명의 노동자가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명백한 원인이 밝혀지고 있지만 김 조합장이 책임을 회피하고, 업무시간에 일어난 일이 아니기 때문에 업무상 재해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 교섭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진호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장은 "김 조합장은 본인의 사익을 위해 거제수협을 이용해왔다"며 "거제수협이 새롭게 거듭나고 진정 어민들을 위한 봉사하는 조직이 되려면 경영을 피폐하게 만든 김 조합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거제수협이 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관심을 가져달라"고 호소했다.

수협대책위는 김 조합장의 퇴진과 거제수협 측의 유족들에 대한 따뜻한 위로와 재정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조속히 해결이 안 될 경우 다음 달 첫째주에 대규모 집회도 예고했다.

이에 대해 거제수협 측은 "산재에 인정을 받으려면 우선 유가족이 산재 신청을 해야 한다"며 "이후 산재 대상이 되는지 논의가 이뤄져야 하는데 그 첫 단계를 밟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고 이 모 조합원의 정확한 사인을 밝혀내기 위해 산업의학의 임상혁 박사·사무금융노조 법률원 신은정 노무사·송미량 거제시의원 등이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진상조사단은 "고인이 장시간 노동으로 정신적 판단이 흐려진 상황에서 노동 강도 강화와 업무스트레스 가중은 고인에게 매우 치명적이었다"며 "고인의 사고는 업무에 기인해 발생한 사고임이 틀림없다"고 밝혔다.

지난달 23일 고용노동부 통영지청이 실시한 특별근로감독 결과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