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동, 소멸위험 매우 낮음 경남서 1위·전국서 5위
상문·수양·장평동 50권 안에…고현동도 99위
남부·장목면 '소멸고위험 지역'으로 나타나
아주동이 경남 308개 면·동 가운데 발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5위 안에는 아주동 뿐 아니라 상문·수양·장평동이 각 3·4·5위를 차지했다.
통계청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18 한국의 지방소멸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거제시 18개 면·동 가운데 7개 동이 소멸위험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가임여성)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로 지역이 사라질 수 있다고 해석된다.
소멸위험지수가 0.2 미만이면 5등급으로 소멸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되고 1.5이상이면 소멸위험이 매우 낮은 단계로 1등급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거제시는 면·동의 인구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9개 동 지역에서 7개 동인 아주·상문·수양·장평·고현·옥포1·2동은 모두 소멸위험이 매우 낮은 1등급으로 조사됐다. 7개 동은 경남도 308개 면·동 가운데서도 상위 30등 안에 들었다.
아주동이 경남도서 1등을 차지했고, 상문·수양·장평동이 각 3등부터 5등을, 고현동이 12등, 옥포2동이 14등, 옥포1동이 28등이었다.
아주·상문동은 전국에서도 10위권 안으로 발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었고, 수양동은 전국서 25등, 장평동은 44등, 고현동은 99등을 차지했다.
동 지역에서 1등급이 아닌 장승포동은 소멸위험 보통으로 2등급이었고 능포동은 동 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주의단계인 3등급이었다.
반면 면 지역은 대규모 공동주택이 들어선 사등·연초면만이 3등급으로 주의 단계였고 일운·거제·하청·동부·둔덕면은 4등급인 소멸 위험진입 단계에 들어섰다고 나왔다. 또 장목·남부면은 소멸 고위험지역에 이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2017년 당시에는 2등급 소멸위험 보통 단계였던 사등면과 능포동이 3등급으로 내려갔고, 소멸위험 진입단계였던 장목면은 올해 소멸고위험 지역이 됐다. 소멸위험 등급이 개선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이는 거제시 소멸위험등급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다. 거제시는 2013년 1등급이었지만 올해는 2등급으로 하락했다.
전출·사망자 수보다 출생아 수가 더 많아 인구수가 유지됐던 거제시가 전출·사망자 수가 더 많아지면서 인구수가 갈수록 하락하는 것과 동일한 모양새다.
시 정보통신과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거제시 인구수는 25만1018명으로 지난해 12월 말 기준 3055명이 감소했다. 9월 대비 142명이 감소했는데 출생자 수 175명, 전입 등 1193명인 반면 사망자 수 95명, 전출 등 1415명으로 감소 요인이 더 많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