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전화벨 소리가 뜸하던 시골 한적한 집에도 가끔씩 전화벨 소리가 요란하다. 얼른 뛰어가 받아보면 또 비슷한 전화다. 여론조사를 빙자한 선거운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전화는 천편일률(千篇一律)적으로 이번 총선 후보 중 누구를 택하겠느냐, 특별한 경력의 소유자 ×××씨를 알고 있느냐는 식으로 특정인을 홍보한 후 선호도를 조사하는 척 하고 지역 현안 한두 가지를 묻는다.
후보 1명의 선호도를 묻는 것은 현행 선거법상 위법이다. 그러나 여론조사는 2명 이상을 대상으로 할 경우 저촉 받지 않는다. 때문에 이들 약삭빠른 정치인들은 이의 맹점을 교묘히 활용, 죄 없는 시민만 괴롭히는 것이다.
이 같은 편법 여론조사는 시도 때도 없다. 하루에도 서너 번 이상 걸려온다. 그러나 선관위는 편법인줄 알면서도 별다른 대책이 없다.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이 같은 정치인들의 홍보내용을 들어주어야 하는 시민들의 기분은 심히 불쾌하다.
출마자들은 편법적인 여론조사로 자신들의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를 거둘지는 몰라도 이를 들어줘야하는 시민은 괴롭다 못해 짜증까지 난다. 때문에 이 같은 편법 여론조사는 오히려 유권자들의 반감을 사는 역효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소득 3만 불 시대를 맞은 거제시민들이다. 정치인들의 이 같은 얄팍하고 편법적인 선거 전략에 휘말릴 시민은 없다는 사실을 이번 총선을 겨냥한 지역 정치인들이 기억했으면 한다.
선거질서를 바로잡는 선거관리위원회는 불합리한 법규에 대한 신속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는 국민을 위한 길이며 옳지 못한 선거문화를 바로 잡는 길이다. 또 정부차원에서 편법선거 관련, 법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