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총선, 한나라당 거제지역 최종 후보 선택을 위한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지난 23일 1차 면접심사를 실시해 총 예비후보 7명 중 김기춘 현 국회의원, 윤영 전 거제시부시장, 진성진 변호사 등 3명에 대해 1차 관문을 통과시켰다.
때문에 거제시 발전에 강한 열의를 보였던 나머지 4명의 예비후보는 총선을 향한 날개를 접고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할 일들이 있다. 이는 다름 아닌 한나라당 공심위가 낙점하는 인사만이 총선 출마자격을 부여하는데 대한 문제점들이다.
이번 총선, 거제지역 한나라당 공천자의 당선은 따 논 당상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한나라당 후보의 우세가 예상되는 현실이다. 때문에 그 누가 후보로 적임자인지의 최종 선택은 시민의 몫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현재 공심위는 한나라당 자체적으로 마련한 당규·당헌을 우선, 공심위 몇몇 사람들의 의사결정으로 후보자를 선택하는 감을 지울 수가 없다. 이는 진정으로 지역을 위해 일할 수 있는 적임자를 놓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때문에 우선적으로 거제시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 시민의 지지도가 높은 인사들을 우선순위 3배수로 정해 이들을 대상으로 다시 지역발전 대책, 지역에 대한 진솔한 애정 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한 후 정당이 공천을 하는 것이 옳다.
국회의원은 선량(選良), 즉 선출 된 인재라는 뜻으로 그 지역을 대표하는 사람, 특히 지역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택의 중요성은 특별하다.
거제시민으로부터 검증받은 인사, 지역 현안에 대해서는 끼니를 굶어가면서도 해결해 내는 의지의 거제인,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목숨조차 내놓을 정도의 인사를 거제시민 손으로 선택, 한나라당 후보로 보내는 것이 마땅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