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계획 재정비 용역 발주…고성·마산 등도 거론
거제를 비롯한 고성과 마산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자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현재 지정된 경제자유구역 부지가 협소하다고 판단, 경남권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최근 추가지정의 타당성을 비롯 지구개발방향 등과 관련된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재정비 용역을 발주, 오는 8월께 그 결과가 나오면 구체적인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김문희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은 지난 2003년 10월 국토연구원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할 때 구역 내에 산 등 지형적 여건과 그린벨트(부산 강서) 등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부지가 많지 않아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경제자유구역청은 이런 점을 고려해 경남권 내에서 진해와 가까운 거제, 고성, 마산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에 대해 내부적 검토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경남도는 물론이고 관련 시·군의 입장과 함께 기획재정부로부터도 긍정적인 답변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확대 지정에 대한 필요성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적이라는 것.
진해지역의 경우 경제자유구역 내에 산들이 많아 지구들이 여기 저기 흩어져 있으면서 집적성이 떨어지는데다 환경적 여건 등의 문제로 개발 제약과 함께 가용면적이 줄어든 상태다. 또 두동·마천지구의 경우 지구 내로 3개의 도로가 관통 예정이다.
이 때문에 구역청에서 외국기업의 투자유치 활성화에 초점을 둔 외국인투자지역(남양·남문 지구 일부)은 13만2000㎡(4만평)도 되지 않는 등 너무 적고 국제업무지역도 예정지인 가주지구의 대폭 축소에 따라 면적이 줄어들 가능성이 많은 상태다.
또 신항 북측 배후지에 물류부지의 추가확보가 제기되고 있지만 현재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산 강서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곳에 그린벨트가 너무 많아 올해 부산시와 구역청이 대통령인수위에 강서첨단물류운하도시의 개발 제안을 해 이명박 대통령으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