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 건설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론에 대해 일부 지역 환경단체들은 한마디로 ‘허구’라고 일축한다.
부산환경연합이 최근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36홀 규모의 골프장 지방세 수입은 4억원 정도에 불과하며 고용효과도 골프장 자체 인력 200명 이외에 지역 고용은 캐디를 포함해 30명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국내의 일반적인 관광형태도 ‘day tour’ 즉 1일 관광형태로 지속, 관광객 지출효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폐쇄성 관광’ 성격을 띠고 있어 관광 진흥효과도 거의 없다는 것이 이들 단체의 주장이다.
경남도 의회 김해연 의원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18홀 규모인 창원CC의 경우 2004년 7억9700여만원, 2005년 7억6700여만원의 지방세를 내는데 그쳤고 36홀인 양산 통도CC는 지난 2004년 24억7400여만원에서 2005년 19억800여만원으로 크게 줄었으며 양산 동부CC는 2004년 12억5600여만원, 2005년 11억100여만원의 지방세를 내는 등 대부분 지역 골프장마다 해가 갈수록 수입이 줄어드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때문에 지자체들이 골프장을 유치하거나 허가과정에서 홍보하는 것처럼 지자체 살림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 입증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지난 2005년 정부의 골프장 인허가 규제완화 방침 발표 이후 골프장 건설 사업은 급격히 늘어 머잖아 전국의 골프장은 500여개 소에 육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시민·환경단체들은 국내도 지난 1990년 일본의 경우처럼 골프장들의 연쇄도산사태가 올 수 있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