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경실련을 비롯한 거제시 바선모, 거제YMCA, 거제YWCA, 지역 언론사 등이 지역 후보자 초청토론회를 계획했으나 일부 후보자들의 불참 통보로 무산됐다.
안 그래도 각 정당의 공천이 늦어져 유권자들이 총선 후보자를 제대로 파악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일부 후보자가 지역 단체가 마련한 초청토론회를 보기 좋게 거절한 셈이니 도대체 유권자는 무엇을 보고 투표해야 하는지 의문일 수밖에 없다.
당초 4월4일 오후3시로 계획됐던 토론회는 지역신문들의 마감 날을 의식해 2일자로 앞 당겼으나 특정 후보가 1일 외는 시간을 낼 수 없다며 일정 조정을 요구해 지난달 28일 금요일, 관계자들의 최종 논의 끝에 1일로 재조정하고 나머지 후보자들의 양해를 얻어 냈지만 지난 토요일 오전, 느닷없이 특정 후보는 토론회에 참석할 만큼 시간을 할애할 수 없다며 불참을 통보해 왔다.
자신을 국회의원으로 뽑아달라는 사람이 유권자에게 자신의 인품이나 정책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회피한 것이다.
지금 부산을 비롯한 경남지역 일부에서도 후보들 토론기피 현상이 늘어난다는 사실은 이미 언론보도를 통해 접한 상황이다. 그것도 기피후보 대부분이 거대정당 공천을 등에 업은 각 선거구의 유력 후보라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선거전서부터 시민을 등한시 한 사람이 국회의원이 된다면 과연 그가 시민의 봉사자로 거듭날 수 있을지 걱정부터 앞선다.
특히 이들의 자세는 최근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지역 유세에서 ‘머슴이 일하도록 기회를 달라’고 외치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토론회에 불참해도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는 현행 선거법도 원망스럽다. 토론회가 미디어선거를 정착시키기 위해 도입한 제도라면 불참 후보자는 불이익을 주는 방안도 첨부하는 것이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