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해양쓰레기 치우기 연례행사 돼…근본대책 시급

긴 장마에 태풍까지 이어지면서 거제 앞바다가 해양쓰레기로 뒤덮였다. 불어난 강물이 바다로 흘러들고 낙동강 수문이 개방되면서 조류를 타고 떠밀려온 쓰레기가 대거 거제연안에 쌓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거제시와 어민들이 해양쓰레기 수거·처리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 해양쓰레기는 지난 6일부터 12일 사이 내린 집중호우로 낙동강을 따라 떠밀려온 쓰레기로 초목류가 대다수지만 육지에서 발생된 스티로폼·페트병·폐비닐 등 생활 쓰레기도 섞여 있어 양식장과 수산물 피해도 우려된다.
거제연안으로 유입된 해양쓰레기는 200톤 가량으로 추산되며, 장목면 농소·흥남·신촌·궁농·하유·두모·대금·시방·소계·대계 해안과 거제면 서정·외간 해안, 옥포2동 덕포해수욕장 등 13개 지역에 집중됐다. 가장 많은 쓰레기가 밀려온 곳은 장목면 농소해안으로 60톤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거제시는 지난 10일부터 매일 200여명의 인원과 장비를 투입해 해양쓰레기 처리작업에 나서 오는 19일께 모든 쓰레기를 수거·정화한다는 계획이다.
예년의 경우 피서객들로 붐비던 흥남해수욕장은 모래사장이 보이지 않고 온통 쓰레기로 가득 찼고, 농소몽돌해수욕장에도 나뭇가지와 농약병, 각종 생활쓰레기가 널브러져 있다.
굴삭기까지 동원돼 치우고 있지만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다는 게 작업자들의 하소연이다.
해수욕장 상인들은 "해수욕장을 개장했지만 오랜 장마로 영업을 못했는데, 이젠 날씨가 더워져 장사를 좀 하려고 하니 쓰레기가 몰려와 죽을 지경"이라면서 "다행히 거제시가 발빠르게 수거작업에 나서 끝물 장사라도 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 해 낙동강을 통해 남해안으로 밀려오는 해양쓰레기는 1400여 톤이지만 올해는 긴 장마에다 폭우까지 쏟아져 그 양이 역대 최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쓰레기는 염분을 함유해 소각장에서 처리할 수 없고 해양쓰레기 감용기에서 옮겨 처리함에 따라 수거비용에다 처리비용까지 더해져 예산 부담 또한 적지 않다.
시 연안환경담당 윤영원 계장은 "보통 태풍이 많은 8월 말에서 9월 중순까지 해양쓰레기가 밀려오는데 올해는 긴 장마와 폭우 탓에 일찍 쓰레기가 몰려오고 있다"며 "시가 청소부도 아니고 매년 연중행사처럼 해양쓰레기를 처리해야 하는 일을 언제까지 계속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자원공사는 집중호우가 쏟아지면 메시지를 통해 낙동강 수문 개방 사실만 통보하는데 정말 열 받는다"면서 "수자원공사는 통보만하고 수문을 개방하면 뒤치다꺼리는 거제시가 하는 꼴"이라며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서일준 국회의원(미래통합당)이 최근 환경부와 해양수산부·경남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남지역에서 지난 2015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때 낙동강을 거쳐 바다로 유입된 수거한 해양 쓰레기는 8110톤에 달한다.
이중 거제지역이 3593톤으로 경남지역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었고 통영 2394톤·고성군 956톤·창원시 525톤·남해군이 510톤에 달했다. 낙동강 하류지역에 위치한 거제시는 그 피해가 상당하고 수거·처리 등의 역할을 고스란히 감수하고 있는 셈이다.
해양쓰레기로 인한 피해는 처리 비용과 수산업·관광산업에 미치는 피해를 합치면 수백억원 정도로 추산될 정도다. 현재 해양쓰레기 처리는 사실상 주무부처인 해수부가 아닌, 지자체가 책임지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해양쓰레기는 바다 오염은 물론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어족자원 고갈과 관광자원마저 피폐화시켜 바다를 의지해 살아가는 어민과 주민들의 삶을 위협한다.
또 오염된 수산물이 식탁에 올라 국민들의 생명에 해를 끼치는 악순환을 거듭하게 된다.
해양 쓰레기 처리는 결코 지자체만의 일이 아니라는 시각이다. 해양 쓰레기는 '육상폐기물'과 해양에서 기인하는 폐어구 등 '해양폐기물'이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근원적 해법 마련과 정부의 지원 확대 등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