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가정의 달 5월을 맞이하여 한 어머니의 숭고한 사랑을 소개하면서 이 글을 이어 가고자 합니다.
미국 중부의 작은 마을에 마샤 에븐스라는 소녀가 살았습니다. 이 소녀는 열세 살 때, 입 근처의 신경조직에 문제가 생겨 수술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수술 도중 신경하나를 잘못 건드리는 바람에 이 소녀의 입이 삐뚤어지게 되었습니다. 어린 소녀가 얼마나 큰 상처를 받았겠습니까? 그때부터 이 소녀는 친구를 만나는 것도, 학교에 가는 것도, 집에 와서 말하는 것도 싫어했습니다.
심지어 어머니와도 대화를 끊고 점점 우울한 소녀가 되어 갔습니다. 그런데 그 해가 끝나갈 무렵 그 소녀 앞으로 소포가 하나 배달되었습니다. 그 날이 소녀의 생일이었는데 포장을 풀어보니 치자꽃다발이었습니다.
하얗고 탐스럽게 피어있는 치자꽃에서는 과자처럼 달콤한 향기가 났습니다. 익명으로 보냈기 때문에 누가 보냈는지 알 수가 없었지만 그 꽃에는 이런 메모가 붙어 있었습니다.
‘마샤! 나는 너를 너무 사랑해!’
치자꽃을 보고 있던 마샤가 수개월 만에 처음으로 입을 열어 엄마와 대화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엄마, 이 꽃을 누가 보냈을까요?”
“글쎄다. 혹시 너를 좋아하는 남학생이 아닐까?”
“에이, 누가 나 같은 사람을 좋아해요?”
“아니야, 그래도 너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 거야.”
“그럼 이름 좀 쓰지.”
“아마 수줍어서 그랬을 거야. 남자들 중에도 뜻밖에 수줍어하는 사람들이 많거든.”
“그를까요?”
이렇게 아무것도 아닌 치자꽃 한 다발 때문에 마샤는 말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 1년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생일이 되니까 어김없이 치자꽃 한 다발이 또 배달되었습니다. 그 다음 해에도 배달되고, 그 다음 해에도 계속 배달되었습니다.
그동안 마샤는 성격이 밝아졌고, 정상적인 삶을 살았습니다. 좋은 남자를 만나서 결혼도 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에도 꽃은 쉬지 않고 배달되었습니다. 도대체 누구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어머니가 갑작스럽게 돌아가신 뒤 그 꽃이 더 이상 배달되지 않았습니다.
비로소 마샤는 그 꽃을 누가 보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그녀의 어머니였습니다. 마샤는 어머니의 큰 사랑을 생각하며 한 없이 감사하고 또 감사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인생을 바꾼 것은 어머니가 보낸 꽃이 아니라 어머니의 사랑이었던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여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어머니의 끝없는 내리사랑입니다.
이 어머니는 딸 마샤가 건강할 때만 사랑한 것이 아닙니다. 얼굴이 이상해졌다고해서 덜 사랑한 것도 아니요, 결혼을 하고 아름다운 가정을 꾸려서 행복하게 산다고 해서 어머니의 사랑이 식은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 어머니의 사랑은 죽음에 삼키게 되기까지 변함이 없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어머니들의 사랑이요 자식을 향한 영원한 관심입니다. 사랑하는 자식이 불행할 때만 우는 것이 모성이 아니라 행복해도 울고 더 행복해지라고 축복하고 또 축복하며 기도하고 또 기도하는 분이 바로 우리들의 어머니입니다.
거제신문을 애독하시는 사랑하는 독자 여러분! 우리가 복된 이 땅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부모님의 지고한 사랑 때문입니다.
우리에게 생명을 이어 주시고 지고한 사랑으로 우리를 보살펴 주신 그 부모님의 사랑을 생각하는 이 5월 가정의 달에 받은 사랑을 생각하며 자식 된 우리도 부모님을 향한 참 사랑을 드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효성이 점점 사라져 가는 이때에 지고한 부모님의 참 사랑을 생각하면서 부모님을 기쁘고 즐겁게 하는 아름다운 삶이 있어야 할 때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은 약속하셨습니다.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은 약속이 있는 첫 계명이니 이로써 네가 잘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엡6:2-3)
5월을 맞이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