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군대의 교훈
이집트 군대의 교훈
  • 윤일광 칼럼위원
  • 승인 2021.0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67년, 이스라엘과 아랍연합국의 전쟁이 일어났다. 당시 이스라엘 인구는 300만 정도인데 비해 이집트는 1억이 넘었고, 거기다가 시리아, 요르단과 연합군이 되었으니 누가 봐도 기우려진 운동장게임이었다. 그런데도 예상을 뒤엎고 이스라엘이 6일 만에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쟁을 두고 사람들은 '6일 전쟁'이라 부른다.

미 육군 퇴역장군 마셜을 단장으로 승전요인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단이 꾸며졌다. 조사단이 현지를 방문하여 두 나라 군대를 관찰한 결과 놀라운 사실 하나를 발견하게 된다. 이집트군대는 연대장이 아침 9시 출동명령이 내리면 대대장은 8시까지 소집을 명하고, 대대장은 중대장에게 7시까지 집합하라고 지시한다. 병사들은 출발도 하기 전에 일찍 모여 진을 다 빼야 했다. 이스라엘군대는 병사들이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제 시간이 가까워서야 모이게 했다.

높은 사람들이 참석하는 행사일수록 관중더러 빨리 오란다. 참석해 보면 30분이나 한 시간 정도 기다리기는 대수고, 그래놓고도 높은 사람은 정작 10분 쯤 늦게 나타나 미안함은커녕 당연하다는 표정이다. 6월29일 부산신항에서 해운산업재건행사가 있었다. 대통령이 참석한 40분의 이 행사를 위해 정작 부두의 모든 물동량은 이틀간이나 멈추어 섰다. 물류대란보다 행사가 더 중요했다.

지난 6월9일, 광주에서 재개발사업을 위해 철거 중이던 5층 건물이 도로 위로 넘어졌다. 건물 아래 있던 시내버스가 매몰되어 승객 9명이 사망하고 8명이 중상을 입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처음 이 공사를 맡은 회사는 3.3㎡(평당) 28만원에 입찰 받았는데, 하청에서 재하청을 주면서 중간에 돈 다 빼먹고 실제 공사를 하는 도급회사의 손에는 겨우 4만원으로 단가를 후려쳤으니 부실공사는 뻔하다. 이집트군대 보고 웃을 일이 아니다.

그런데 이런 일이 터지고 나면 정치권의 레퍼토리는 언제나 똑 같다. '재발방지' '엄중처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