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gative Capacity
Negative Capacity
  • 거제신문
  • 승인 2008.0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귀식 칼럼위원
▲ 민귀식 새장승포교회 목사
우리가 삶을 사노라면 좋은 일만 있는 것이 아니라 좋지 못한 일을 경험할 때도 많습니다.

윤택하게 행복하게 살기 보다는 어렵게 힘들게 불행하게 살 때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이 글을 쓰는 필자는 오랫동안 청소년들과 함께 대화하며 목사의 사역을 감당한 사람으로서 많은 청소년들을 만났는데 크게 두 가지 반응이 있음을 목격할 수 있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자신의 어려운 처지와 잘못된 환경을 비관하면서 모든 문제의 원인을 부모와 사회로 돌리는 부정적인 반응의 모습을 보이는 절대 다수의 청소년들을 보았습니다.

그들은 많은 나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이 아닌 어른 흉내를 내며 음주와 흡연을 비롯하여 본드와 마약까지 흡입하면서 일탈된 행동을 스스럼없이 자행하며 학교와 사회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기까지 했습니다.

삶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으로 보면서 인생을 비관하고 사회를 원망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니 내일에 대한 원대한 꿈과 희망을 품기란 불가능했습니다. 절망과 한숨 속에서 문제청소년의 길을 걷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똑같은 불행의 현장 속에 있으면서도 소수의 청소년들은 그 불행의 현장을 원망하고 비관하는 것이 아니라 그 불행의 현장을 향하여 정면 도전하면서 그 불행의 현장을 정복하려는 청소년들도 없잖아 많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불행의 현장을 정복하여 좋은 대학에 진학하고 좋은 직장에 취업하여 사회에 공헌하는 아름다운 삶의 주인공들도 많이 보았습니다.

이같은 삶의 모습, 즉 부정적인 환경과 좋지 못한 조건 속에서 나타내는 놀라운 힘을 발산케 하는 그 긍정적인 힘과 능력을 교육학에서는 ‘Negative Capacity’이라고 합니다. 이 말을 번역하면 “부정적인 것들이 발휘하는 긍정적 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32대 대통령을 역임한 프랭클린 루스벨트(F Roosebelt) 대통령은 미국의 상류층 집안 출신입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대통령이 되는 꿈을 키우며 대학을 진학했고 변호사와 미국상원의원이 되어 약관 38세에 민주당 부통령후보에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뜻하지 않은 병마에 사로잡혀 절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린 아이들이 걸리는 소아마비 바이러스에 의해 하반신을 온전하게 쓰지 못하는 중증 장애인이 되고 말았습니다. 당시로서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 때문에 대통령이 되는 꿈을 접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 꿈을 포기하지 않고 소아마비가 없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새로운 꿈을 소유한 채 노력하고 힘쓴 결과 1928년 뉴욕 주지사가 되고, 1932년 미국 32대 대통령에 취임하는 놀라운 기적의 주인공이 되며 미증유의 경제 대공황으로부터 미국을 구출해 내는 위대한 지도자가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그가 대통령으로서 분주하게 활동하면서도 소아마비가 없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꿈을 저버리지 아니하고 ‘마치 오브 다임스’(March of Dimes)라는 비영리재단을 만들어 수고하고 노력한 결과 1954년 조너스 솔크(Jonas E. Salk)박사에 의해 소아마비 예방백신을 계발하게 문제를 해결하게 했습니다.  

이처럼 세차게 몰아치는 고난의 풍랑 속에서도 삶을 포기하지 않고 그 불행을 승리의 원동력으로 삼아 수고하고 노력하고 기도에 힘쓴다면 반듯이 우리 앞엔 영광스러운 내일이 펼쳐질 것입니다. 구약성경 시편 107편 4-7절속에 보면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광야 사막 길에서 방황하며 거주할 성읍을 찾지 못하고 주리고 목이 말라 그들의 영혼이 그들 안에서 피곤하였도다. 이에 그들이 근심 중에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그들의 고통에서 건지시고 또 바른 길로 인도하사 거주할 성읍에 이르게 하셨도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현실 속에 있는 불행의 늪에 빠져서 번민하고 탄식하며 절망만 할 것이 아니라 더 좋은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원대한 꿈을 가지고 불행을 딛고 일어서는 용기가 있어야 하겠습니다.

오늘의 고난이 내일의 영광을 가져오는 아름다운 자산으로 축복의 통로로 활용하는 지혜로움이 우리 모두에게 있어야 할 것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