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병산 줄기를 따라 내려오다가 구조라와 망치마을 사이 육지와의 거리가 100미터 정도 되는 이 섬은 잡목 수림이 우거져 있어, 이곳에 별장을 짓고 육지와 연결하는 줄 배를 띄워 놓고 미녀 효주에 풍악을 즐기면서 한 세상 잊어 봄직한 절경이다.

아주 오랜 옛날 이곳에 과부 노파가 성이 윤씨인 아들 삼형제를 거느리고 이 섬에 와서 살게 되었다.
마침, 이때 북병산 밑 양지마을에 김망월이란 늙은 어부 한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망월노인은 얼굴이 절세미인이었던 이웃마을 해선이란 해녀와 결혼한 후 해선이가 바다에 나가서 전복, 소라, 미역, 멍게 등을 따다가 시장에 팔아서 생활하면서 정답게 살고 있었다.
하루는 해선이가 바다에 나가서 해산물을 따는데, 난데없는 태풍이 불어와서 타고 있던 배는 멀리멀리 사라지고 말았다.
이 광경을 지켜 본 망월이가 "해선아! 해선아~~" 하고 불러 보았으나 아무 소용이 없었다.
날 밝은 밤이면 바닷가에 나와 해선이만 부르다가 달만 멍하니 쳐다본다고 해서 이웃사람들은 망월이라 부르게 되었다.
실의에 빠졌던 망월이가 이곳 마을에 와서 움막을 짓고 고기를 낚으면서 해선이가 떠나갔던 먼 수평선만 바라보면서 세월을 흘러 보내고 있었다.
이때 윤씨 삼형제를 데리고 온 늙은 노파가 윤돌섬에 살게 된 것이다.
양지마을에는 홀아비인 김망월이가 살고 있고, 윤돌섬에는 윤돌의 홀어머니가 살고 있었다.
서로의 외로움을 달래던 김망월과 노파할멈은 꽃피고 새 우는 춘삼월 호시절을 맞아 춘정을 못 이기어...
노파할멈은 양지마을에 사는 망월노인을 찾아가 노정을 달래곤 했다.
이 윤돌섬은 북병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려 그 줄기가 간조 때면 물 위로 드러나 윤돌섬에서 양지마을까지 걸어 갈 수 있었다.
과부 노파가 아들 삼형제 몰래 양지마을 망월노인을 찾아가서 젊어서 못 다한 연정을 속삭이게 되었다.
겨울이 다가오자 과부노파에게 걱정꺼리가 하나 생겼다.
간조 때면 육지와 섬 사이에 아련히 드러난 북병산 줄기의 능선 따라 양지마을 망월영감을 찾아가서 연정을 나누곤 하였지만 .....
따뜻한 봄과 시원한 가을도 지나고 찬바람이 불어오는 엄동설한이 되면서부터는 한달에 한번 가던 양지마을에도 추운 겨울 때문에 버선을 벗고 간조 때를 기다려 섬과 육지 사이를 걸어가자니 발이 시리고 추위가 엄습하여 그토록 보고 싶은 망월영감도 만나지 못하고 애만 태우고 있었다.
햇살이 따뜻한 어느 날 버선을 신고 물 위에 아련히 나타나 있는 섬과 육지의 능선 따라 양지마을 망월영감을 찾아가는 애처로운 모습을 본 윤씨 삼형제가 징검다리를 놓아주어 버선을 벗지 아니하고도 양지마을까지 갈 수 있게 되었다.
어머니의 심정을 헤아려 주는 아들 삼형제, 효자 맞지요?
그 후 이 섬을 효자섬이라 부르다가 윤씨 삼형제가 살면서 돌다리를 놓았다고 해서 윤돌섬이라 불렀다고 전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