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올 것이 왔다. 해마다 되풀이되던 관광지 바가지요금이 관광, 피서인파를 다른 곳으로 끌어갔다.
올 7월말 현재 거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을 비롯, 외도, 지심도 등 거제 유명 관광지 6곳을 찾은 관광·피서 인파는 총 6만2,65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만6,373명에 비해 17%가 줄었다.
이를 두고 대부분의 시민들은 관광·피서지 인근 상인들이 저지른 바가지요금의 부메랑, 즉 자업자득(自業自得)이라는 비난들을 쏟아내고 있다.
그러나 거제시 행정은 해마다 입이 닳도록 바가지요금 근절 관련 홍보만 거듭하고 있을 뿐 제대로 된 대책하나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지금 관광지주변 대부분의 가계서는 일반 가계서 1,000원을 받는 컵라면을 2,500원~3,000원까지 받는가 하면 500원짜리 작은 생수 1병은 1,000원을 받는 등 올해도 여전히 해수욕장 주변의 바가지 상혼이 되살아나고 있다.
특히 펜션의 이용료는 해도 너무한다. 관광, 피서 성수기는 객실 1개에 15만원 20만원은 예사며 30만원이상을 요구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더구나 해수욕장 인근 일부 숙박업소는 요금게시판도 없다.
손님에 따라, 날씨변화 등 주변 여건에 따라 멋대로 고무줄 요금을 받겠다는 의도다. 이처럼 관광지 주변 일부 업주들은 자율규제라는 이유 하나만을 내세워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지키지 않는다.
거제를 찾는 관광객을 위해 바가지요금을 근절하겠다던 행정의 다짐이 또 한 차례 공염불이 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모든 관광지는 파리만 날릴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거제시가 바가지요금 근절 의지가 있다면 손님으로 가장, 암행조사를 실시, 위반업소는 철퇴를 내리는 것이 옳다. 더 이상 방치하다가는 지역 내 해수욕장을 비롯 모든 관광지는 개장휴업 등 돌이킬 수 없는 사태를 맞을 수밖에 없다.
제주도는 최근, 바가지요금을 제대로 단속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부이사관급인 국장을 직위해제했다. ‘비싸다’는 여론 속에 관광객이 줄자 제주도 행정이 빅 카드를 내놓은 것이다. 거제시도 바가지요금이 단속되지 안 될 때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