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어장 정밀 실태조사 및 복원시험 1차 중간보고
태안어장 정밀 실태조사 및 복원시험 1차 중간보고
  • 거제신문
  • 승인 2008.0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적 기초자료 확보 및 어장 복원 연구

▲ 유분측정을 위한 시료채집(사진왼쪽)과 기름에 오염된 해조류 양식장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소장 김이운)는 지난 2007년 12월 7일 발생한 태안 해역 HEBEI SPIRIT호 원유유출 사고에 의한 서해안 주요 양식어장의 오염도 및 양식생물 피해 정밀조사 및 품종별 양식복원을 위한 중간 연구조사 결과를 '08.9.18 태안군 문예회관에서 발표했다.

해수 유분농도는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2월에 0.2㎍/L 이하로 낮았  으나 수온이 상승하는 5월에 다소 높았으며, 육상양식장은 2월에 최고값(0.7~1.1㎍/L)을 나타냈으나, 7월까지 전반기 동안 0.1㎍/L 내외로 해역 수질등급 기준인 10㎍/L 이하로 안정화 추세를 보였다.

조간대 퇴적물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농도는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의   마을어장은 니질로서 표층(68.3~161.6, 평균 128.8ng/g,D.W), 하층(7.9~119.7, 평균 60.3ng/g, D.W)으로 표층이 높게 나타났다.

신두리는 사질로서 표층(3.4~48.7, 18.4ng/g, D.W), 하층(19.3~69.3, 평균 35.4ng/g, D.W)으로 나타나 하층이 높게 나타났다.

▲ 기름에 오염된 굴 양식장(사진 왼쪽)과 오염된 굴 양식시설물 철거작업 모습.

그러나 미해양대기청(NOAA)에서 제시한 생물영향이 발생한 퇴적물 PAHs농도 중 하위 10% 값인 ERL(Effect Range Low) 4,000ng/g(D.W), 50% 값인 ERM(Effect Range Median) 45,000ng/g(D.W)보다 매우 낮은 PAHs 생물안전 기준치로 나타났다.

육상양식장의 넙치는 정상적으로 부화 후 60일령이면 전장 4㎝까지 성장하여야 하나, 3㎝ 전후로 성장저하 및 질병발생으로 불안정화 하였다. 생존율은 비오염(당암)은 15.4~17.5%, 저오염(곰섬) 및 오염(이원면 내리)지역은 0~15.4%로 나타났다.

넙치수정란은 원유농도 20%에서 55.7%의 부화율과 부화 후 3일째 11.1%의 낮은 생존율 및 척추형성 부전, 척추만곡증 등의 기형이 나타났다.

양식 패류와 해조류의 식품안전성 조사결과는 벤조(a) 피렌 등가치가 신안 물김에서 최고치(5.81ng/g), 그 외 시료에서는 3.10ng/g 이하로 검출되어 EU 패류 기준치의 10ng/g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 기름 유입지역 바지락 폐사모습(사진 왼쪽)과 바지락양식장 복원사업을 위한 모래살포 및 경운작업 모습.

굴 건강도 조사를 위한 혈구의 생존도는 태안군 도내리와 남면 진산리에서 2007년 12월에 각각 45.2~47.44%와 51.2~59.33%를 보였으나  2008년 7월에는 95.8, 89.7%의 생존도로 나타났다.

바지락은 2~3월에 각각 48.31%와 45.43% 였으나 2008년 4월부터 7월에는 59.11~89.1, 57.85~80.45%로 회복되었다.

바지락 폐사율은 2008년 평균 22.4%로 나타났으나, 태안, 보령, 서산지역은 18.6~51.1%였다. 춘계(3~4월)의 대량폐사 개체 크기는 2007년은 각장 2.5㎝, 2008년도는 각장 1.0㎝의 소형개체에서 폐사발생 특징을 나타내었다.

양식어장 복원사업으로 굴 및 바지락 양식복원 사업을 추진한다.

양식방법별(간이수하식, 포장끈, 개체굴)자연채묘 예비시험은 간이수하식 20연, 포장끈식 500m를 시설하였으며, 굴 이식양성시험은 간이수하식 800연, 수평망식 개체굴 20,000마리를 시험할 계획이다.

바지락 양식장의 복원시험은 태안군 이원면 내리지선 0.5ha에 모래 1,000톤을 살포해 경운작업을 완료하여 11월중에 종패 2톤을 살포해 정상적인 양식이 가능한지를 조사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