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K고등학교 J모 교장은 황당한 전화를 받았다.
“OO일보 문화사업팀 ××지역 본부장 입니다. 이번 불미스러운 일에 대해 정말 가슴 아프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과 관련, 모든 지역 언론들이 협조해준 것도 큰 다행입니다. 우리도 이번 일은 그냥 넘기기로 했습니다.”
학생이 사고를 당한 직후 걸려온 이 전화는 결국 몇 마디의 인사치례 말을 남기고 OO일보사가 발행했다는 책을 구입해 줄 것을 권유했다.
J교장은 당황해 하며 다음에 다시 통화하자고 미뤘지만 이틀 후에 또다시 전화가 걸려왔다.
또 지난해 거제시 공무원 정기 인사 때 사무관으로 승진한 K모씨는 서울지역 언론사 부장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월간지 1년치 구독을 권유받고 하는 수없이 이를 승낙했다.
그러나 계속해서 다른 언론사 관계자를 사칭한 사람들로부터 주간지나 월간지, 또는 비디오 테이프 구입 권유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일은 비단 공무원 뿐만 아니라 각종 선거 당선자에게도 해당한다.
각 지역 수협과 농협의 조합장 선거에서 당선된 조합장도 신문사 간부를 사칭하는 사람들이나 방송사업단이라는 단체로부터 자체 제작한 책이나 테이프 구입을 권유받는다.
K씨는 “언론사에서 하는 일을 거절하기가 힘든 공무원 입장에서는 이 같은 책이나 테이프의 권유는 분명히 부담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다. 특정인이 인터뷰하거나 표창이나 공로상을 받는다는 사실이 지역신문 등에 실리기라도 하면 곧바로 이런 유의 전화가 걸려온다.
옥포동 이모씨(43)는 “지역신문에 인터뷰 기사가 나온 적이 있었는데 신문이 발행된 다음날 곧바로 언론사 간부라는 사람으로부터 책자구입을 권유 받았다”고 말했다.
언론사 관계자는 “전화로 책자 등 물품 구입을 권유하는 단체는 언론사와는 상관없다”고 밝히고 “자신이 필요한 책자나 물품이 아니면 언론단체라 할지라도 구입부담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