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 “유적분포·성격파악 위한 정밀 발굴조사 필요”
문화재청 “해저면 수중 아니다”
… 발굴지점 확인요구
우리 나라에서는 최초의 수중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추정되는 남부면 저구리 대포항 발굴 여부를 놓고 발굴기관인 동아대측과 허가기관인 문화재청 간에 논란이 뜨겁다.
동아대박물관과 동아대 해양자원연구소는 최근 수중지표조사 보고서를 통해 대포항에 대한 발굴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기관은 대포항 방파제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마산지방해양수산청의 의뢰를 받아 지난 2-5월 대포항에 대한 수중지표조사를 한 결과 해저면과 해안가에서 신석기시대 토기편 등이 많이 나오는 등 수중유적이 확실한 만큼 유적의 분포와 성격 파악을 위해 추가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는 것.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해저면을 수중으로 볼 수 없으며 동아대 측의 수중 지표조사보고서 말미에 ‘잠수조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대부분 폐기된 어구와 로프, 철구조물 및 기타 폐기물로 확인되었다’는 내용은 수중 유물이 없다는 이야기라며 정밀추가조사 주장을 일축했다.
지난 1일 지표조사 책임조사원인 동아대 이동주(문화재위원) 박사는 발굴 논란 현장인 대포항 일대 해안가에 무수히 산재한 융기문토기와 빗살무늬토기편, 석기편, 흑요석편 등 신석기시대 유물을 확인했다.
이 유물들에 대해 이 박사는 “지난 98년 대포항 준설사업시 바다 밑에 있던 유적이 교란돼 유물들이 해안가로 떠밀려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양자원연구소 김현도 박사는 “해안선으로부터 50m 지점 해저면에서도 신석기시대 토기편이 수습됐다”고 밝혔다.
동아대측이 문화재청에 ‘거제 대포항 건설공사에 따른 수중문화재 정밀지표조사의 범위와 필요성에 대한 의견서’ 등 2차에 걸쳐 낸 의견서에 따르면 대포항 수중유적은 마지막 빙하기가 1만2000년전에 끝이 나면서 해수면이 점차 상승하는 과정에 당시 해안변에 있던 유적들이 순차적으로 해저에 수몰되었다는 것이다.
이 박사는 해안을 마주하고 있는 일본 나가사키현의 타카시마 바다 속에서도 신석기시대 유적이 확인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문화재청은 “수중부에서는 유물이 전혀 확인이 안 된다. 해저면을 수중이라고 볼 수 없다. 동아대 측이 50m 지점이라고 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다. 발굴을 하려면 지점을 정해달라고 동아대 측에 두 번이나 재촉했다. 수중 지표조사를 했는데도 발굴 지역을 정하지 못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마산지방해양수산청이 문화재 문제로 공사를 하지 못해 애로가 보통 큰 게 아니다. 어느 정도인지 마산해양청에 알아 봐라. 발굴 허가 문제는 문화재청 고유 권한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동아대 측은 “해저면이 수중이 아니면 어디가 수중이냐. 땅을 파지 않고 수중 지표조사만 했는데 어느 지점에 유적이 있는지 어떻게 아느냐. 일정 지역에 파이프를 박아 지층을 확인해야 유적의 범위를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인 것으로 추정되는 신석기시대 수중유적이므로 일정 부분이라도 조사를 해 유적의 성격을 파악한 후 공사를 하는 게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동아대측은 또 “문화재청이 요구해 납득할 수 있는 의견서를 2차례나 보냈는데도 조사기관의 조사 결과를 무시하고 계속 트집을 잡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문화재청은 지난 9월 20일자로 ‘지표조사 결과 유적의 존재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므로 계획대로 공사를 시행할 것’이라는 내용의 공문을 거제시에 보냈다.
마산지방해양수산청은 지난해 12월부터 대포항에 방파제 2곳과 물양장 등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