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산업 불황에 대비해야
이 의원은 “미국의 금융위기에서 비롯된 조선불황은 우리들의 의지만으로는 해결 할 수 없는 심각한 내용으로 장기화가 예상된다”며 “세계 제1의 조선해양산업 도시인 거제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그 대처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양대 조선소가 지금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인·허가 조기승인 및 민원처리 등 적극적인 행정력 지원과 간접원가 절감 측면 지원, 대체 신규산업 발굴·유치 환경 조성에 매진해야 한다”며 “시민들도 과도한 민원자제와 전폭적인 협조로 이번 위기를 극복,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찾아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양대 조선소는 구조조정을 통해 인력을 강제적으로 감축하는 일을 자제해야 한다”며 “어려울 때일수록 경험을 중시하는 조선산업의 특성을 살려 숙련된 인력을 보호하고 지역인재를 더 많이 채용, 조선불황을 극복하고 다가오는 호황에 대비하는 정책을 펴 나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해녀를 위한 복지사업 필요
강 의원은 거제시의회 제123회 제2차 정례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 같이 밝히면서 “거제시 연안에서 해녀업에 종사하고 있는 숫자는 약 200여명으로 한 달 평균 15일 동안 작업해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관광객이 거제를 찾아오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볼거리와 먹거리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한다”면서 “해녀들의 잠수하는 모습과 직접 잡은 해산물을 관광객이 사먹을 수 있도록 한다면 해녀들의 생활에 보탬이 될 뿐만 아니라 거제시의 관광 상품 중 하나로 성장시켜 나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해녀는 우리나라와 일본밖에는 없는 특별한 문화지만 산업의 발달로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면서 “해녀의 본 고장인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지난 2006년 124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연면적 4,002㎡, 지산 4층 규모의 해녀박물관을 개관해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3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해녀들의 복지사업에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연클리닉 지원 나서야
김 의원은 “청정거제가 자연환경은 물론 시민이 청정하기 위해서는 건강을 위협하는 담배를 끊어야 한다고 생각 한다”면서 “행정이 나서 금연운동단체와 자원봉사자들이 핵심 흡연자를 알아내는 일을 지원해 그 정보를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넘겨줄 수 있도록 예산을 수반한 지원책과 금연관련 시책을 마련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간접흡연 피해자들이 자신을 방어할 수 있도록 불량 흡연자신고센터를 보건소에 설치해 흡연자 정보를 축적해야 한다”며 “그래야만 어느 지역, 어느 회사, 어느 경로당에 가장 담배를 많이 피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흡연율을 낮추기를 위해서는 금연클리닉 활성화가 꼭 필요하다”면서 “금연클리닉 인원과 의약품, 금연홍보물 제작에 많은 예산을 지원해 순차적으로 금연운동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