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3월부터 시행되는 고현지역 일방통행로 운영을 두고 주민 설문조사와 설명회 등의 시민 의견수렴과정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나 마찰이 우려된다.
지난 20일 거제시에 따르면 차량 통행 여건 개선과 주차난 해소를 위한 신현지구 교통체계 개선의 일환으로 고현5지역(고현로~고현중앙로~성내중앙길~시청로) 7개 노선을 일방통행로로 지정, 오는 3월부터 운영한다.
또 고현1지역(고현대로~고현중앙로~서문로~서문1길) 9개 노선, 고현2지역(고현대로~고현천로~서문로~고현중앙로) 2개 노선, 고현3지역(서문로~고현중앙로~고현로~선창길) 3개 노선, 고현4지역(서문로~고현천로~고현로~고현중앙로) 8개 노선은 오는 상반기 중 일방통행로 지정을 끝내고 운영에 들어갈 방침이다.
인구집중과 교통량 증가 등으로 고현지역 이면도로 곳곳이 주차장으로 전락한 현실에서 일방통행로 지정은 다수의 시민들이 공감하는 상황.
그러나 일방통행로 지정 대상지역 주민들에 대한 설문조사 등 의견수렴 과정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일부 상인들은 일방통행로 지정으로 영업실적 감소를 우려하며 반발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이들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설득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차량 통행량 조사와 교통영향 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들을 시민 설명회 등을 통해 공개, 시민불만을 사전에 최소화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시 관계자는 “모든 시민 여론을 수렴하게 되면 일방통행로 운영 사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신현지구 교통체계개선 기본설계 용역 당시 시민 여론을 일부 수렴해 적용했다”고 밝혔다.
일방통행로 운영과 관련 시민 김모씨(39·장평동)는 “적절한 단속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역주행 차량과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단속 없이는 일방통행로 지정 또한 유명무실 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운전자들의 의식개선 또한 일방통행로 정착에 큰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어서 규정을 지키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