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야, 문제는 산촌 간척지야”
“바보야, 문제는 산촌 간척지야”
  • 거제신문
  • 승인 2009.0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 갯벌복원 대상지 국토부 보고에 산촌 간척지 포함 안시켜

갯벌 복원 및 생태 관광지 조성 프로그램 함께 추진 필요

최근 선정된 시 갯벌복원 대상지에서 산촌간척지가 제외된 것을 두고 환경단체들은 물론 다수 시민들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들을 보이며 시 행정에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시는 지난해 말 국토부로부터 ‘갯벌복원종합사업’에 따른 대상지 추천의뢰를 받고 시 관내 4 곳의 갯벌복원 대상지를 ‘적격지’로 국토부에 추천했다. 국토부는 이 중 다대만, 사곡만, 탑포만 3 곳을 갯벌복원 사업 대상지로 최근 선정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산촌 간척지가 시의 국토부 보고단계서부터 제외된 것을 두고 말들이 많은 것.

산촌간척지는 지난 2004년 3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44만㎡에 걸친 갯벌을 매립했다. 현재 일부는 경작지로 사용하고 있고 일부는 매립 후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산촌 일대 너른 갯벌은 해양생태계의 보고였다. 갈대숲까지 형성돼 있어 각종 철새, 어패류의 집단 서식지이기도 했다. 간척을 위해 방조제를 만들고 매립을 하면서 생태계 보고는 파괴되기 시작했고 지금도 갈대 숲과 함께 아무렇게나 방치되고 있는 일부 갯벌과 습지는 그 건강성을 잃어가고 있다.

산촌마을 한 주민은 “ 조개 등이 엄청 많이 잡히던 곳이다. 그러나 지금은 거의 없다. 바다도 마찬가지다. 풍족했던 어류들이 서서히 사라졌다”고 말했다.

초록빛깔사람들 조순만 대표는 “갯벌 복원 사업지로 선정된 3곳이 과연 타당한가? 시가 어떤 기준으로 이곳을 추천했는지 모르겠다”며 “갯벌 복원이라는 의미에서 보면 산촌 간척지만큼 그 타당성과 적합성이 큰 곳이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갯벌 복원 대상지의 추가 선정 노력 및 변경 검토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이에 대해 시 해양수산과 한 관계자는 “나름대로 우선 순위를 고려해 국토부에 보고했고 산촌간척지와 둔덕 간척지는 최근 추가로 올렸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최종 결정된 것이 아니고 추가 보고 한 것에 대해서도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져 선정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3월중 전국 3-4곳의 시범사업지가 선정되고 이미 예산까지 거의 확정된 상황인 만큼 늦은 감이 있지만 타당성과 적합성에 따른 갯벌 복원 대상지의 추가 선정 및 변경을 위한 시의 보다 적극적 행보에 시민들의 기대가 실리고 있다.

갯벌복원종합사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를 통한 갯벌복원의 생산적 가치를 신중히 고려, 협의를 하고 대상지 등에 대한 광범위한 자문을 구하는 등의 적극적 행정이 아닌 ‘대충 행정’의 결과라는 지적을 어쨌든 시는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