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모든 구성체는 힘이 있어야 살아남는다. 우리가 이미 경험한 시·군의 도·농 통합도 주위에서 보아 온 대부분 기업들의 합병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지역 내 동부농협만은 힘이 있어야 살아남는다는 힘의 논리조차 무시하는 느낌이다.
동부농협과 거제농협이 자립경영기반 구축을 위해 서두르던 합병이 끝내 무산됐다. 16일, 거제농협은 동부농협의 합병계약 불이행에 따른 계약무효를 통보했다.
지난해 12월14일, 두 조합은 합병에 따른 조합원 찬반 투표를 실시한 결과 거제농협은 85.9%의 찬성을, 동부농협도 82.7%의 찬성을 얻어냈다.
이에 따라 지난 9월30일까지 합병에 따른 모든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동부농협은 몇몇 인사들 반대의 벽을 넘지 못하고 ‘합병무산’이라는 파행의 길을 치닫고 있다.
이번 사태는 동부농협이 전무 한 사람의 임용을 불승인하며 발단됐다. 하지만 이사진의 불승인이 한 사람의 인사로 인해 빚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다.
일부 뜻있는 조합원들의 지적에 따르면 합병파행은 조합원 선거에서 비롯된 씨족간의 힘겨루기, 일부 이사진과 조합원 간의 갈등 증폭 등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이제는 농협중앙회로부터 이미 받아 낸 합병권고자금, 상호금융금리 인하 지원금, 유통관련 특색사업 지원금 등 십 수억원을 전액 반납해야 하는 경영부담을 안을 수 밖에 없다.
동부농협은 농민조합원과 동부면민의 이익을 우선해야 한다.
지역민의 화합을 선도하는 농협, 지역민의 삶을 풍요롭게 인도하는 농협정신이 더 없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