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세포항이 남해안 최대 규모의 선망(旋網)어업 전용기지로 건설된다던 꿈은 이제 허공으로 사라질 것 같다. 이 기지 유치를 위해 거제시와 부산시는 지난 1994년부터 치열한 유치경쟁을 벌여왔다.
부산시는 다대항을, 거제시는 지세포항을 선망기지로 건설한다는 것이 당초 목표였다. 지세포항의 선망기지 건설계획은 부산항을 기지로 이용하는 대형선망조합이 부산항의 심한 체화(滯貨)로 더 이상 기지 사용이 어렵게 된데 따른 것이었다.
이에 따라 이 사업의 핵심인 대형선망수협은 1995년 8월18일 조합원 총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으로 지세포항을 선망기지로 확정, 수산청에 사업계획서까지 제출했다.
이 계획서에 따르면 지세포항에 건설될 선망기지는 350억원을 투입, 약 10만여㎡(3만평)의 연면적에 위판장과 물양장을 비롯, 선박 양육시설(3만여㎡), 1만드럼 비축용량의 급유시설(1,500㎡), 5층 규모의 냉동창고 등 종합적인 선망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15년이라는 세월이 흐르도록 선망기지 건설 사업은 아무런 계획조차 없이 지세포항 일대를 ‘선망기지 부지’라는 ‘족쇄’를 채워 지방자치단체의 개발의지조차 묵살하고 있다. 남해안 최대 선망기지라는 엄청난 계획을 세워놓고도 왜 15년이 흐르도록 허송세월만 보내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당시 대형선망어업은 부산항을 거점으로 고등어 정어리 삼치 부세 등 일시 다획성 어종을 연간 30만톤씩 어획, 1,500억원의 어획고를 올리는 것으로 집계했다. 하지만 이제는 선망어업의 어획고는 당시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등 선망어업 자체가 사양길을 치닫고 있어 기지건설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는 ‘지세포항 선망기지’라는 ‘족쇄’를 푸는 것이 급선무다. 더구나 최근에는 국가어항일지라도 주변부지 활용을 위한 개발계획 수립 등은 시장, 군수 등에 위임됐다는 점을 참고, 지세포항을 기반으로 또 하나의 거제시 발전 의지를 다져야 한다.
마침 이때 지역출신 윤영 국회의원이 지난달 31일 농림수산식품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지세포지역 어민들이 어항부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요청했고 장태평 장관은 적극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여기에다 선망수협측은 제주도에 새로운 선망기지조성을 타진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때문에 지금이 바로 ‘지세포항 선망기지 건설계획’ 이라는 ‘족쇄’를 풀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거제시는 이미 확정, 추진되고 있는 지세포다기능항 종합개발계획에 선망기지 부지도 포함, 새로운 청사진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거제시는 이번 선망기지 관련, 얼마만큼 지혜롭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행정능력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장의 역량도 새롭게 평가 받을 수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