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조선 용지’ 매립으로 땜질
부족한 ‘조선 용지’ 매립으로 땜질
  • 백승태 기자
  • 승인 2006.10.25
  • 호수 1
  • 1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0년대 이후 수 백 만평매립, 거제해안 만신창이

주민 이주 시키더라도 협동화단지조성 바람직

거제시가 ‘조선도시’라는 이유로 매립허가를 남발해 거제해안은 날이 갈수록 만신창이가 되고 있다.   

특히  매립허가권을 거머쥔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관련 부서는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 등 난개발 방지 대책은 고려치 않은 채 오직 허가에만 주력하고 있다. 

24일 거제시에 따르면 지난 1974년 옥포국가산업단지 조성을 목적으로 옥포, 아주, 장승포 일원 1백76만4천여㎡의 공유수면이 매립됐으며 같은 해 죽도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신현읍 장평리 일원 공유수면 36만7천여㎡도 매립됐다.

이 밖에도 지난 1981년 사등면 사등리 지선2050일대 1만7천2백41㎡가 조선단지 조성명목으로 매립 허가된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11월 일운면 석유비축단지 조성과 관련, 26만㎡가, 82년부터 83년까지는 고려개발(당시 대표 정천석)이 택지조성 명목으로 고현, 장평 등 1백13만여㎡를 매립하는 등 80년대만도 12건의 매립이 허가됐으며 90년대는 굴 패각처리장 조성과 관련 거제면 서정리 1만1천4백여㎡ 등 총 7건의 매립이 허가됐다.

또 2000년대는 오비일반지방산업단지 조성과 관련, 연초면 오비리 일원 11만9천4백26㎡의 공유수면이 매립되는 등 총 7건, 21만4천6백여㎡가 이미 매립됐으며 항만 및 조선시설을 위한 연초면 오비일원 일부는 공사가 추진 중이다.

이 밖에도 삼성조선이 농공단지 조성을 위해 연초면 한내리 공유수면 32만6천7백20㎡(육지부 3만8천4백80㎡ 포함)에 대해 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신우조선해양(대표 김부도)은 사등면 성포리 1번지 지선 15만5천7백46㎡에 대해 해양수산부에 공유수면 매립기본계획 반영을 요청하는 등 지역내 총 10여건 이상의 매립 계획이 추진 중에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 지역마다 갯벌의 흔적이 사라지며 자연생태계 파괴가 크게 우려되고 있다.

또한 이 같은 매립은 부동산투기 조장에도 한몫, 매립을 하고 공장을 가동할 경우 시간이 흐르면 매출에 따른 수익보다는 땅값이 치솟아 부동산 갑부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는 부작용도 낳고 있다.

매각을 서두르는 A기업의 경우 2천여 평의 땅값은 매립당시의 10배 이상 치솟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거제시는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해 저렴한 가격으로 부지를 공급, 조선산업을 살리면서 인력과 지역자금 역외유출을 방지하는 한편 산업단지 조성지 인근 주민에 대한 특별한 지원대책 마련 등 과감하고도 장기적인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들이다.

시민 신모씨(54·능포동)는 “당국은 무분별한 매립에만 주력할 것이 아니라 조선기자재 단지를 한데 모으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이미 산업단지가 조성된 일부 지역은 주민 이주 등 철저한 대책을 세워 대규모로 확장할 경우 난개발 방지는 물론 지역 조선기자재 공장 협동화에 따른 시너지 효과, 또한 산업 경쟁력 강화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같은 협동화 단지 개발은 환경단체를 비롯한 거제시민 누구나 공감하는 사항으로 매립에 따른 집단민원을 해결하면서도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국토의 효율적 개발 측면에서도 거제시가 과감하게 추진하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