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종합터미널 상동으로 이전해야”
“버스종합터미널 상동으로 이전해야”
  • 거제신문
  • 승인 2011.03.15
  • 댓글 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옥영문 의원, 이전 주장...종합 광역교통망 구축으로 가야

연초면 연사리에 계획중인 거제시 종합버스터미널을 상동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옥영문 의원(가 선거구 고현동, 장평동, 상동동, 수양동)은 지난 14일 자료를 내고 “종합버스터미널은 상동지역이 적격지이다. 신현지역 도심지와 거제 전역으로의 접근성이 가장 우수하고, 국도 14호선 혼잡구역(옥포~장평)을 경유하지 않고도 국도14호선 우회도로를 이용, 시외로의 접근성 또한 가장 좋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중앙정부에서 계획하고 있는 김천-거제 남부내륙철도의 거제종착역을 고려하여 종합버스터미널은 복합환승센터로 확장 가능하도록 구상돼야한다”고도 덧붙였다

연초면 연사리는 입지적으로 부적격이라는게 옥의원의 주장이다. 옥의원은 “연초면 연사 들녘은 도심에서의 도보접근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현, 옥포 등 도심에서의 접근에 추가 연계 교통 수요를 유발시키고 이는 교통량이 가장 많은 국도 14호선 옥포~장평 구간의 교통집중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옥의원은 또 "이에 비해 상동은 “도보접근과 신현지역 셔틀버스에 의한 접근이 가능하다. 계룡산터널(명진터널)이 생길 경우를 가상하면 거제시의 중앙에 위치하여 거제 전지역에서 접근시간이 가장 짧고, 시, 내외 연결 시 국도14호선 우회도로를 활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교통 혼잡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점이 최대의 장점이다”고 덧붙였다.

버스-화물자동차 종합터미널이라는 시의 계획에 대해서도 옥의원은 비난의 화살을 날렸다. ‘세계적 웃음거리’라는 것.

그는 “전 세계적으로 시내, 시외버스와 화물자동차가 복합터미널을 함께 사용하는 사례는 그 예를 찾기 힘들다”며 “버스와 화물자동차를 한 터미널에 함께 수용한다는 발상은 운송사업과 물류의 기본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비전문가적인 발상이다”고 맹비난했다.

그는 “연사 들녘의 버스-화물차 종합터미널 구상은 즉각 폐기되는 것이 옳다”고도 주장했다. 

종합버스터미널은 향후 거제시 종합광역교통센터로 확장 가능하도록 계획,수립돼야 한다고 나선 옥의원은 “거제시가 계획하고 있는 종합버스터미널은 지어지면 수 십 년은 사용해야 하는 공공인프라의 문제로 인식해야 하는 만큼 2020년 통영~거제 고속국도와 대전~거제 남북내륙철도와의 문제까지 포괄해 거제시 종합 광역교통망 구축계획 차원에서 접근해야한다”고도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예쁜여우 2011-03-17 12:28:21
모든 전문부야에 있는 분들이 그렇게 의논 하여 타당성에 대해 입증 하였다면 당연히 확정공표한데로 진행해야죠 이제와서 또 왈가왈부 하는 것은 어떻게 해석 해야 하나요
모든걸 검토후에 확정한 만큼 일관성 있게 진행 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ㅋㅋㅋ 2011-03-18 11:50:12
이번에 상동 아주간 터널이 뚫려서 편하긴 한데요... 물론 지금 그 덕에 차 막힘 없이 잘 가고 있습니다.
근데 상동 사람들 많이 늘어나는거 같던데... 다시 거기다 복잡한 터미널 집어 넣으면 오히려 기껏 도로 분산시킨거 다시 복잡하게 만드는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거가 대교 생긴후에 그쪽으로 물동량이 늘어난거 같은데... 송정에서 나오면 바로 처리 할 수 있게 그냥 초안대로 가는게 안나을까 생각합니다.

아름다운 거제 2011-03-19 09:37:38
의원님은 앞을 내다보는 진정한 일꾼이라 생각이 듭니다.파이팅

해금강 2011-03-19 09:43:31
사람은 잘못 결정할수도 있읍니다.그러나 빨리 돌이키면 거제의
장래가 아름다우리라 믿읍니다.

기존안추진 2011-03-19 10:02:08
지역발전을 위해서 시의원이 뛰는 것은 당연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기존의 결정을 뒤집으려면 제대로 된 전문가용역결과를 가지고 주장해야 할 것입니다. 도시계획전문가도 아닌 사람이 자기 생각만 주장하면 그건 뒷다리 잡기입니다. 거제가 부족한 점이 많지만 가장 아쉬운 점은 결정난 부분(및 공사일정)에 대해서 제대로 지키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시에서 발표한 공사일정이 지켜지는 겨우가 거의 제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