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과 원칙, 정상적인 절차를 통한 상생’이 우리의 입장
본지 832호 1면 ‘거제시-삼성조선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는 제하의 기사가 나가자 삼성조선이 반박형태의 기고문을 본지로 보내왔다.
24일자 삼성조선 김상훈 상무의 명의로 보내 온 대 ‘지역언론’ 기고문의 제목은 ‘기업을 진정 광야로 내몰려 하는가’였다. 기고문은 여러 가지 삼성조선 관련 언론 보도를 문제 삼고 있는데 그 발단은 본지의 지난 832호 1면 기사였다.
삼성조선의 이같은 대응은 ‘언론의 고유 사명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 본지는 규정한다. 따라서 삼성조선의 기고에 대해 그 부당성과 월권을 지적하고 시민들이 판단할 수 있도록 기고문 전문을 공개코자 한다.
도시계획 변경의혹 보도에 “발목 잡는 언론”(?)
삼성조선 김상훈 상무는 기고문을 통해 본지의 지난 832호 1면기사에 대해 “왜곡된 시각으로 지역기업의 발목을 잡으려는 논조를 보이는 등…”이라며 본지를 폄훼했다.
삼성조선이 자연녹지를 매입하고 시가 이에 대해 도시계획을 변경하는 과정 등에 대한 석연챦은 부분을 지적하는 것은 ‘시민의 알권리 충족’이라는 언론 본연의 자세요,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할 행정에 대한 당연한 지적이었다. 언론의 고유 역할인 것이다.
그러나 삼성조선은 이에대해 본지가 ‘당사의 기숙사 부지에 대해 왜곡된 시각으로 발목을 잡는다’는 식으로 공개 대응을 했다.
‘매입한 자연녹지가 어떻게 해서 도시계획 변경이 됐는지’에 대한 본지 기사의 핵심관련 언급은 없다. 반박을 하려면 이 부분에 대해 ‘절차상 하자가 없었고 시가 공명정대하게 도시계획을 변경한만큼 전혀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했어야 했다.
해석상의 차이는 물론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런식은 언론에 대한 상식이하의 대응이요, 특히 ‘발목을 잡는다’는 어휘선택에는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직원들의 편의를 위한 기숙사를 하루빨리 짓는데 반대할 거제시민, 언론이 어디 있겠는가? 공장부지를 확보해 조선호황을 구가하고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며 지역경제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가고자 하는데 어느 누가 까닭없이 발목을 잡으려 하겠는가?
문제는 지켜져야 할 절차요, 상식이요, 원칙이다. 특히 행정의 경우 더욱 그렇다. 그 잣대가 상대에 따라 달라져서는 안되지 않는가? 자본의 논리, 힘의 논리가 여과없이 그대로 통용되는게 또 일반화돼서는 곤란하지 않은가?
눈 가리고, 귀 막고, 입 봉해야 하는가?
삼성조선이 ‘고맙다’고 삼성조선 관련 모든 것에 ‘눈을 가리고, 귀를 막고, 입을 봉해야 하는가? 그래야 발목을 안 잡는 ‘참 언론’인가? 언론은 그게 아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언론이 아님’을 본지가 보여준 것뿐이다.
삼성조선은 또 기고문을 통해 “거제지역에서 사업을 영위해 가는 것이 과연 가능할 것인가하는 심각한 회의…(중략) 당사의 투자를 무조건 왜곡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일부 언론…(중략) 기업유치에 혈안이 돼 있는 다른 시·군의 노력은 안보이는지, 왜 기업을 황야로 내몰려 하는지…”라며 언론에 대한 노골적인 감정을 드러냈다.
언론과 거제시민들을 향한 거의 협박 수준이다. 안타깝다. 답답하다. 대기업다운 ‘통 큼’이 없다.
한내농공단지 승인관련 부당성 심사가 감사원에 계류중임을 언급했고 삼성조선의 부지매입과 도시계획 변경의 공정하고 투명한 과정을 지적했다. 그래서 ‘궁합이 잘 맞는다’고 했다.
언론이 이 정도도 못하는가? 이게 “왜곡된 시각으로 지역기업을 황야로 내몰려고 하는” 짓인가? 삼성조선의 대 언론관이 심히 유감이다.
우리의 역할 흔들림 없이 견지해 갈 것
삼성조선은 대우조선과 함께 우리 거제의 너무나 소중하고 큰 자산이다. 아끼고 사랑해줘야 할 보배와도 같다. 그러나 그 사랑과 소중함을 지키는 방식은 언론과 기업이 분명 다를 수 있다. 기업의 입장으로 언론을 재단하려는 월권(?)과 위압(?)이 있어서는 곤란하다.
양대 조선이 살고 거제시가 살고 서로가 상생해 갈 수 있는 길을 지혜롭게 찾아나가는 것이 ‘맞다’ 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다. 이같은 입장에서 우리의 역할을 흔들림 없이 견지해 갈 것이라는 것도 밝히고 싶다.
많은 것은 상식과 원칙에서 보면 답이 어느 정도 찾아진다. 삼성조선도, 본지도 이에 입각해 본연의 역할과 책임에 충실하면 된다.
그리고 서로가 서로의 역할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상식과 원칙이 만나는 지점이면 이같은 소모적 논쟁은 필요 없을 것이라는게 우리의 판단이기도 하다.
거제시가 ‘삼성공화국’이 아니지 않은가?
기립박수를 치고 싶은 맘입니다...